본문 바로가기
IT

Xcode에서 로컬 프로젝트를 깃허브(github)로 옮기는 방법

by 이거레알 2023. 1. 8.

오랜만에 Xcode를 사용했다

iOS 앱을 만들어보려고 오랜만에 Xcode를 켜서 프로젝트를 만들었다가 난감한 상황에 봉착했다.

예전에 용량 많다고 지웠다가 다시 까는 바람에 깃허브를 비롯한 모든 설정이 날아간 상태다. github token을 새로 만들어 등록하고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왠걸... 깃허브에 리포지토리를 생성하는 방법을 모르겠다.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깃 리포를 내 맥에 생성하기 를  체크했는데, 체크하면서도 "내 맥에 생성한다고? 흐음..." 하고 고개를 갸우뚱했는데 역시나... 깃허브엔 리포지토리가 생성되지 않았다.

 

Source Control에 체크해봤자 내 맥 내에서 깃 리포가 생성될 뿐이다.

나랑 비슷한 분들이 계실 것 같아 해결책을 남긴다.

 

로컬 깃을 깃허브로 옮기기

일단 아래와 같이 왼쪽의 네비게이터 바에서 두번째에 있는 아이콘을 누른다. 제대로 누르는게 맞나 싶다면 두번째 아이콘에 커서를 놓고 있어보라. 소스컨트롤네이게이터라고 친절한 설명이 나온다. 두번째 아이콘을 눌렀는데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가 나오지 않는다면 이 포스팅의 맨 아랫부분을 먼저 참고하고 다시 여기로 올라오도록 한다.

 

소스 컨트롤 네비게이터 아이콘을 누른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 폴더에서 우클릭해주면 반가운 단어가 보인다. "remote"

혹시 이런저런 시도를 해보다가 깃허브에 해당 프로젝트를 위한 리포지토리를 만들어놓은 상태라면 Add Existing Remote... 를 클릭하면 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New "프로젝트명" Remote... 를 클릭하면 된다.

Remote라는 단어가 보여서 기분이 참 좋았다.

아래와 같이 설정창이 나온다. Description 써주고, Public일지 Private일지 결정한 뒤 Create 눌러준다.

마지막으로 신나게 description을 써주고 Create를 누른다.

그러고 나서 내 깃허브 리포지토리를 확인해보면 짜잔. 아래와 같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깃허브에 잘 생성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이슈랑 상관 없는 이야기 하나 적어야겠다. 이 글 보는 분들 중 개발 갓 시작하시는 분들 계시다면, 국내 블로그 글은 가능하면 참고하지 않으시길 추천드린다. 오랜만에 swift 하느라 여기저기 찾아보면서 하는데, 국내 블로그엔 틀린 이야기를 뻔뻔하게 적어놓은 사람들이 많다. 참고한 해외글들의 링크를 남겨놓는다고 방심하지 마시라. 틀리는 사람들은 이해를 틀리게 해놓고도 출처를 적어놓는다. 하던 사람들이면 알아보고 피식 하거나 한 숨 한 번 쉬고 넘어가면 되겠지만, 얼마 안 되신 분들은 구분이 힘들기 때문에 잘못하면 틀린 지식을 몇 달을 갖고 가게 될 수도 있다. 책을 참고하거나, 스택오버플로를 참고하는 것이 낫다. 특히 스택오버플로 글 중에서도 개발자들끼리 진리를 탐구하며 치열하게 싸우고 있는 글...

내 맥에 깃 리포지토리 생성을 안 한 상태라면

소스 컨트롤 네이게이터 아이콘을 눌렀는데 프로젝트 구조가 나오지 않고 빈 화면이 뜬다면, 여러분이 아직 로컬 깃 리포지토리 생성을 하지 않은 것이다. 그럼 먼저 아래처럼 Source Control 메뉴에서 New Git Repository... 를 눌러 로컬 깃 리포를 만들어준 뒤 위의 과정을 거치면 된다.

 

댓글